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바스크립트 기초(ES5+)_비동기 처리의 시작_콜백(Callback) 이해하기(콜백지옥) [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 ] 1. 동기와 비동기 1) 동기(scynchrounous) : JS는 동기적이다 > hoisting이 된 이후부터, 코드가 우리가 작성한 순서에 맞춰서 하나하나씩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hoisting : var변수 또는 함수 선언이 가장 최상위로 올라가는 것 2) 비동기(asynchronous) : 언제 코드가 실행될지 예측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3) 콜백(callback) : 해당 함수 호출 시 지정된 콜백함수를 인자로 전달하여 지정 함수를 부르도록(call back)한다. -동기/비동기 // 1. 동기 : synchronous console.log("1"); console.log("2"); console.log("3"); // .. 더보기 자바스크립트 기초(ES5+)_유용한 배열(Array)함수 10가지(*중요) [ 유용한 배열(Array) 함수 ] 1. join() > 배열에있는 모든 아이템을 더해서 string으로 리턴함, 각각 구분자''를 통해 ,으로 구분하여 string으로 만들어준다. // Q1. make a string out of an array const fruits = ["apple", "banana", "orange"]; // answer const result = fruits.join(); const result1 = fruits.join("|"); // 구분자 '|'생성 console.log(result); console.log(result1); - 나 : toString() 사용, 차이가 무엇일까? 2. split() > 전달된 구분자''를 통해 string을 여러가지 문자열로 잘게 나뉘어.. 더보기 자바스크립트 기초(ES5+)_Array(배열)과 APIs [ Array 배열 ] 1. 자료구조 자료구조 : 비슷한 구조의 데이터들을 모아놓는 것이다. 자료구조와 Object의 차이점 : - object가 토끼와 당근일 경우 , 토끼와 당근들은 각각의 특징들이 있다. (property=귀 두개, 주황색, method=먹는다, 뛴다), object는 서로 연관된 특징과 행동들을 묶어놓는 것이다. 비슷한 타입의 object들을 묶어놓는 것을 자료구조라고 한다.(토끼들끼리, 당근들끼리 바구니에 담음) > 다른 언어에서는 동일한 type의 object만 담을 수 있다. but js는 유연한 언어(dynamic typed language)기 때문에 한 바구니 안에 다양한 type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가능하긴 하지만 프로그래밍에 좋지 않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 더보기 자바스크립트 기초(ES5+)_반복문(loop)/ while / for / 중첩 반복문 [ Loop 반복문 ] - false가 나오기 전까지 계속해서 무한 반복한다. 1. while 반복문 > 조건을 먼저 확인한다. let i = 3; while (i > 0) { // i가 0보다 클경우 반복함 console.log(`while: ${i}`); i--; } 2. do - while 반복문 > 블록 먼저 실행한 후 조건을 확인한다. do { console.log(`do while: ${i}`); // 먼저 실행한 후, i--; } while (i > 0); // 조건을 확인하고 반복함 3. for 반복문 : for( begin(시작); condition(조건); step(스텝) ) > begin 1번만 실행 후, condition 확인하고 step 하는 과정을 반복한다.(condition이 .. 더보기 인터넷(Internet)이란 무엇인가? '인터넷(Internet)'의 역사 : 인터넷은 1960년대 미국 국방성에서 군사적인 목적으로 구축한 알파넷(ARPANET) 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980년대에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인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함에 따라 더욱 빠르게 발전하였다. 1989년에는 월드와이드웹(www)이 등장하였고, 이후 상업적 웹 브라우저가 출시되면서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큰 진보 를 가져온다. 현재는 전 세계 146개국 5,000여 컴퓨터 네트워크와 900만대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가 연결되는 등 전 세계적인 거대한 컴퓨터 네트워크의 집합체로써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하고 있다. 인터넷(Internet)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앞서 네트워크에 대해 이해했다. 인터넷은 '광범위 네트워크(WAN).. 더보기 네트워크(Network)와 인터넷(Internet) '네트워크(Network)' : 그물을 뜻하는 Net + Work의 합성어. 그물을 짜는 행위를 가리키는 명사에서 임의의 '연결망' 또는 '통신망'을 지칭하는 용어로 여러 개체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는 경로를 의미한다. '컴퓨터(*노드)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그물망처럼 연결된 통신 이용 형태' 또는 '어떤 연결을 통해 컴퓨터(*노드)의 자원을 공유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 노드(node) : 대형 네트워크에서는 장치나 데이터 지점(data point)을 의미한다. 개인용 컴퓨터, 휴대전화, 프린터와 같은 정보처리 장치들이 노드이다.(위키백과) 두 개 이상의 컴퓨터가 통신이 필요할 때, 우리는 다른 컴퓨터와 물리적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네트워크는 쉽게 말해 컴퓨터 간의 정보를 주.. 더보기 이전 1 ··· 15 16 17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