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st

[기술 면접 스터디-6일차] require와 import, const 사용 시 주의할 점 1. require와 import차이점을 설명해주세요. 각각 어떤 상황에서 쓸 수 있나요? 💡둘다 모듈화를 위한 모듈 시스템입니다. require는 CommonJS 키워드이고, import는 ES6에서 새로 도입된 키워드입니다. 최근에는 ES6 모듈 시스템인 import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모든 브라우저에서 호환되진 않기 때문에 Babel과 같이 ES6 문법을 이전 문법으로 트랜스파일링(Transpiling)해주는 도구가 있어야 import를 사용 가능합니다. 차이점으로는 1. CommonJs 모듈 방식은 전체 모듈을 다 불러오고, 불필요한 모듈이 로드되기도 하고 모듈 내에서 어떤 부분을 사용했는지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ES6(ECMA2015)부터는 import 방식의 모듈 시스템을 사용.. 더보기
[Deep Dive] var, let, const의 차이 / hoisting(호이스팅)에 대해 오늘 목표 : var, let, const의 차이 / hoisting(호이스팅)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책을 이용해 변수들과 호이스팅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1. var의 등장 배경 / 문제점 1) 중복 선언 - 같은 이름의 변수를 중복해서 선언해도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또 재할당이 아니라 이전의 변수가 덮어쓰여진다. 규모가 큰 프로젝트에서 변수명이 중복될 경우에도 Error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누군가 실수로 변수를 중복 선언하여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2) var 호이스팅 - var변수의 선언문이 스코프 내의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진 것처럼 동작하여 변수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해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3) 함수 레벨 스코프 - var 키워드로 정의된 변수는.. 더보기

728x90
반응형